2016년11월05일 촬영
[내용]
중요민속자료 제190호. 조선 숙종 때의 학자인 윤증이 건축하였다고 하나 후대에 개수 등이 있었던 듯 현존건물은 19세기 중엽의 건축양식을 보이고 있다.
이 고택은 파평윤씨(坡平尹氏)들의 세거지인 옛 이산현에 있는 이산(尼山)을 배산(背山)하여 인접한 노성향교(魯城鄕校)와 나란히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집 앞에는 비교적 넓은 바깥마당이 펼쳐져 있고, 그 앞에 인공 방형지(方形池)를 파고 조그마한 석가산(石假山)을 조성한 훌륭한 정원이 꾸며져 있다.
정원에서 4단석계의 축대를 오르면 오른쪽에 앞으로 돌출한 사랑채가 있다. 그 뒤로 연접하여 사랑채 후면에서 1칸 물려 왼쪽으로 一자형의 중문간채가 자리잡고 있다. ㄇ 형의 안채는 북쪽으로 중문간채와 1칸 떨어져 있어 튼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또, 안채의 서익(西翼) 바깥쪽에 광채가 있다. 기와를 얹은 맞담이 중문간채 좌우로 뻗어서 이 광채를 포함한 안채의 양측을 둘러쌌고 배후는 야산이 막아섰다. 따라서, 전체적인 배치는 튼口자의 안채에 독립된 사랑채가 접합된 형태라 할 수 있다.
안채는 중앙에 정면 3칸, 측면 2칸의 넓은 대청이 있다. 그 왼쪽으로 2칸 윗방, 2칸 안방을 두고, 오른쪽에는 2칸 건넌방, 1칸 마루방이 배치되어 있다. 좌측의 안방 전면에 4칸의 넓은 부엌을 돌출시켰고, 우측의 마루방 앞으로는 2칸 안사랑방과 1칸 작은부엌을 달아내었다.
대청 좌우익의 각 방들은 툇마루나 마루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대청의 배면은 심벽으로 처리하고 쌍여닫이 골판문을 설치하여 놓았다.
사랑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중앙에 전퇴를 둔 2칸의 사랑방이 놓이고 그 오른쪽에 대청이 배치되었다. 사랑방 좌측에는 1칸 마루방과 하부에 부엌을 둔 작은사랑방이 배치되어 있다. 사랑방 뒤퇴에는 드나드는 입시에 작은마루방이 배설되어 사랑방과 연결되며, 작은사랑방의 뒷방과도 통하도록 되어 있다.
중문간채는 정면 5칸, 측면 1칸으로 좌측 두 번째 칸에 중문을 내고 안채가 바로 보이지 않게 1칸 돌아 들어가게 하였다. 안채는 회반죽으로 마감한 막돌허튼층2단쌓기를 한 기단 위에 화강암 덤벙초석을 놓고 모두 방주를 세웠다. 주상에는 주두 없이 도리와 장여만 있는 민도리집이다.
대청·상부가구는 5량가로 동자주 없이 중도리의 장여를 대량 위에 끼워 걸쳐놓은 간소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종량 위에 제형판대공을 세워 뜬창방을 올려놓고 그 위에 소로를 놓아 장여와 종도리를 받고 있다.
사랑채는 5량가로 안채의 구조기법과 유사하다. 다만, 화강암바른층쌓기 한 기단과 네모뿔의 화강암정평초석을 사용한 것이 다르다. 이 집은 모든 부재의 마감이 치밀하고 구조가 간결하면서 견실하여 아름다운 입면과 함께 신선한 맛을 풍기는 조선 후기 주택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하다.